정규직 임금의 64%.."비정규직 이대론 안된다" 확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충북광역자활센터
조회 8,144회
작성일 14-06-18 17:29
본문

야권은 정부의 이 같은 노력을 평가절하했다. 장병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공공기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관련, 무늬만 정규직 고용이지 사실상 파견 간접고용과 무기한 계약직으로 전환하며 국민을 기만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새정치연합은 유기홍 의원이 지난해 대표 발의한 '교육공무원 직원의 채용 및 처우에 관한 법률안'을 통해 학교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우선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새정치연합은 이 법안을 지난해 연말 이후 매번 중점 처리 법안으로 선정하고 있지만 번번히 새누리당 반대에 부딫혀 법안 소위를 좀처럼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지방선거에서는 정부가 실행하는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 전환을 비판하며, 공공부문 상시업무의 정규직 전환을 전국 공통공약으로 발표하기도 했다. 공공부문과 학교를 시작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사회 전반으로 점차 확대해간다는 복안이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당선자 등 진보교육감들도 조례제정을 통해 학교 비정규직을 교육공무직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하는 등 관련 움직임은 사회전반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새누리당은 진보 교육감들의 학교 비정규직 교육공무직화 추진에 대해서는 우려의 시선으로 보고 있다. 새누리당 내부와 교총에서는 아예 교육감 직선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있다.
기업들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추세에 대해 우려가 크다. 중소기업의 경우 최근 근무시간 단축 등이 추진되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부담까지 커질 경우 줄도산 가능성도 예고된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비정규직 사용규제, 근로시간 단축, 통상임금 등 첩첩산중"이라며 "이는 인건비 부담을 늘려 가뜩이나 상황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줄도산을 야기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머니투데이 김경환 기자 kennyb@moneytoday.co.krmt.co.kr
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40618081811039&RIGHT_HOT=R6
정규직 임금의 64%.."비정규직 이대론 안된다" 확산[the300]학교·공공기관 등 운송직 이외 분야서도 정규직化 확산움직임 머니투데이 김경환 기자 입력2014.06.18 08:18기사 내용[머니투데이 김경환 기자][[the300]학교·공공기관 등 운송직 이외 분야서도 정규직化 확산움직임] |
[이 게시물은 충북광역자활센터님에 의해 2016-01-24 19:37:17 복지동향에서 이동 됨]